my use

집 브런치 제육 홍갓 계란 덮밥

Chellola 2022. 10. 7. 10:07
728x90

어제 저녁에 밥이 남지 않아, 다음날 아침엔 먹을 밥이 없다. 

밥을 하기는 귀찮고... 그냥 있는대로 먹기로,,

요즘 꽂힌 제육볶음에 홍갓 ( 요즘 갓이 많이 나온다), 송이 버섯을 마지막 즈음 넣고 같이 볶는다. 

밥이 없어 그냥 먹기 좀 속이 심심하니 계란을 한개, 두개 후라이 한다. 

계란이 작아서 두개한 것임. 그럼 갓이라는 건 ? 아래에 쭉 ~ 

요즘 입맛을 돕는 이 갓이 정확히 뭘까? 

두산백과에 보니, 한국과 중국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흔히 아는 갓김치 너무 맛있잖아요 ? 마트에 팔면 사서 라면에 넣고 국에도 넣고, 볶아서도 먹고.. 내맘대로 먹는다. 

요리에 정도없고 레시피 없는걸 어째.. 

요약 피자식물문 목련강 풍접초목의 한해살이풀.
학명계문강목과분포지역크기
Brassica juncea
식물
피자식물문
목련강
풍접초목
십자화과
한국, 중국
높이 1m

한자로 개채() 또는 신채()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BC 12세기 주()나라 때 이 종자를 향신료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한국에서도 중국에서 들여온 채소류로 널리 재배한다.

높이가 1m 정도로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으로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 짧은 잎자루가 되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갈라지지 않는다. 줄기잎은 긴 타원형 바소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희미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없으나 줄기를 감싸지 않으며, 양면에 주름이 지고 흔히 흑자색이 돈다.

봄부터 여름까지 총상꽃차례에 노란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4개, 꽃잎도 4개로 밑부분이 좁아져 자루 모양으로 된다. 각과()는 길고 비스듬히 서며, 종자는 노란색으로 구슬 모양이다.

 

① 재배환경:채소 중에서는 고온성()이다. 생육 초기에는 추위와 더위에 모두 강하나, 비교적 온난한 지방에 적응된 품종은 성장함에 따라 추위에 약해지고, 저온지방의 것은 추위에 강하다. 품종에 따라 다르나 추태()와 개화는 일조시간이 많을 때에 촉진된다. 종자의 발아 최저온도는 6℃, 최적온도는 25℃, 최고온도는 35℃ 정도이다. 토양에 대한 적응성은 매우 강해 다습한 토양에서도 잘 견디며, 논의 2모작에서도 생육이 잘 된다. 토양산도는 pH 5.5∼6.8이 적당하다.

 

② 재배:조기재배에서는 3∼4줄 또는 흩어뿌리기를 한다. 김치용으로 재배할 경우에는 직접뿌리기로 3∼4줄 골을 짓고 30∼45cm 간격으로 점파() 또는 줄뿌림을 한다. 정식묘는 본엽이 5∼6매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묘를 옮기기 전에 충분히 보관하고 지켜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한다. 김치용 재배에서는 2줄로 포기사이를 30∼45cm, 잎 재배에서는 4줄로 포기사이를 40∼50cm로 한다. 직접뿌리기 했을 때는 본엽이 2∼8매일 때 솎아서 소정의 포기사이로 만들고 그때마다 사이갈이, 덧거름, 흙주기를 한다. 수확은 밑뿌리를 베어 다발로 만들고, 김치용의 포기가 큰 것은 오전에 베어 볕에 말리며 오후에 다시 벤 순서대로 뒤집어 말려서 저녁에 들여 놓는다.

 

③ 이용:잎은 주로 김치와 나물로 쓰는데 향기와 단맛이 있으며 적당히 매운맛도 있다. 종자는 가루로 만들어서 향신료인 겨자 또는 약용인 황개자()로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